‘ㄹ’은 자음 가운데 입이 가장 크게 벌어진다. 혀끝을 튕기듯 윗잇몸에 살짝 댔다가 뗄 때 나는 소리다. ‘물, 불, 달’. 받침일 때는 혀끝을 입천장에 대고 혀 양옆으로 공기를 흘려보내야 한다. 자음이지만 모음 같은 성질도 있다.
韩语辅音中“ㄹ”在发音时嘴张得最大,轻弹舌尖,轻触上牙龈后松开。在发“水(물)”、“불(火)”、“月(달)”的时候,舌尖接触上颚,气流从舌头两边通过。虽然是辅音,却有着元音的特点。
그래서일까. ‘ㄹ’은 쉽게 자리를 비운다. ‘ㄴ’으로 시작되는 어미를 만날 때는 무조건 탈락한다. ‘놀다/ 노는’ ‘졸다/ 조는’ ‘달다/단’ ‘멀다/먼’처럼 된다. ‘날다’도 자연스레 ‘ㄹ’이 탈락해 ‘나는’이 된다.
不知道是不是这个原因,这个音很容易脱落。“ㄹ”遇到以“ㄴ”开头的词尾时,一定会脱落。比如“玩(놀다/ 노는)”、“困(졸다/ 조는)”、“甜(달다/단)”、“远(멀다/먼)”。飞(날다)遇上“ㄴ”,“ㄹ”也会脱落,变为“나는”。
그렇지만 ‘날으는 새’ ‘하늘을 날으는 자동차’ 같은 잘못된 표현도 흔하다. ‘놀다’ ‘졸다’ 등에선 안 그러는데, ‘날다’에선 ‘-으는’을 붙이려고 한다. 어떤 말에도 ‘-으는’이 붙는 예가 없는데도 그런다. 자신을 가리키는 ‘나는’과 피하려는 데서 나온 것일 수 있겠다. ‘나는 새’라고 하면 ‘날다’는 느낌이 안 온다는 이들도 있다.
很多人会将飞鸟写错成“날으는 새”,在天上飞的汽车写成“하늘을 날으는 자동차”。像“玩(놀다)”、“困(졸다)”不会写错,但在“飞(날다)”这个词上喜欢加“-으는”。首先没有一个词会加“-으는”。但这种现象的出现可能是想与“我(나는)”区分开,因为有些人觉得“나는 새”没有带“飞(날다)”的意思。
‘무지개, 무좀, 무자리, 무자맥질’. 이 말들에서도 ‘ㄹ’이 탈락했다. 여기서 ‘무’는 모두 ‘물’이었다. ‘ㄹ’은 ‘ㅈ’ 앞에서도 조금 자취를 감춘다. 대부분 “울지 마라”라고 말하지만, 노랫말에서는 ‘우지 마라’도 보인다.
像“彩虹”、“脚气”、“水田进出水口”、“潜泳”这类单词中的“ㄹ”也脱落了。这里的“무”其实原型都是“물”。有时候“ㄹ”遇上“ㅈ”也会消失,虽然大部分人会说“울지 마라”,但是在歌词中偶尔会听到“우지 마라”。
今日词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