韩国或将对中国游客个人免签

发布时间:2025-07-04 08:40:54

新闻选自:서울경제 

정부가 올해 말까지 한시 적용할 예정이었던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정책을 사실상 무기한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통해 소비·숙박 등 내수 회복에 시동을 건다는 구상이다.

政府正在研究无限期延长原定于今年年末为止的中国团体游客免签证政策的方案。 计划通过吸引中国游客来启动消费、住宿等内需恢复。

2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조만간 법무부·문화체육관광부·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중국인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관련 시행 계획을 발표할 방침이다. 정부는 앞서 3분기 중 무비자 입국을 시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나 구체적 일시를 못 박지는 않았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올해 말까지 시행한 뒤 내년부터 상시 대책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2日,据有关部门透露,政府不久后将联合法务部、文化体育观光部、企划财政部等相关部门公布有关中国团体游客免签证入境的实施计划。 此前,政府曾表示将在第三季度实行免签证入境,但并未确定具体日期。 政府正在推进到今年年末为止实行此次对策后,从明年开始转换为常态化对策的方案。

여기에 더해 정부는 관광객 유치 활성화 차원에서 올해 12월 종료될 예정인 전자여행허가제(K-ETA) 한시 면제 기간을 1년 더 연장하기로 했다. 올해 0%대 성장률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관광 등 서비스 산업에서 돌파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실제 우리 경제 컨트롤타워인 기재부는 최근 중국 정치·경제 전문가를 초청해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한중 관계 개선과 경제 협력에 관한 의견을 청취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리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하반기 성장률 제고를 위해 중국인 관광객 유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在此基础上,政府为了吸引游客,决定将原定于今年12月结束的电子旅行许可制(K-ETA)限时免除期限再延长1年。 政府认为,为了克服今年0%的增长率,旅游等服务产业必须要有突破口。 据悉,实际上,韩国经济控制塔企划财政部最近邀请中国政治、经济专家举行了非公开座谈会,听取了有关改善韩中关系和经济合作的意见。 据悉,出席会议的专家们表示,为了提高下半年的增长率,有必要吸引中国游客。

정부 관계자는 “향후 중국인 개인관광객까지 비자 면제를 확대하는 방안도 중장기 과제로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韩国政府相关人士表示:"今后将把免签证范围扩大到中国个人游客的方案作为中长期课题进行讨论。"

정부는 특히 올 11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방한할 경우 무비자 입국 정책과 함께 경제 전반에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 한국은행에 따르면 중국인 단체관광객 100만 명 증가 시 국내총생산(GDP)이 최대 0.08%포인트 상승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인 방한 재개 효과로 0.21%포인트 성장률 제고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정부는 올해 536만 명의 중국인 관광객을 유치해 2019년(602만 명)에 근접한 성과를 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政府特别期待,以今年11月在庆州举行的亚太经合组织(APEC)领导人非正式会议为契机,中国国家主席习近平访韩时,与免签证入境政策一起,在整个经济领域产生协同效应。 实际上,据韩国银行分析,如果中国团体游客增加100万名,国内生产总值(GDP)最多会上升0.08个百分点,据韩国文化观光研究院分析,2023年中国人访韩重启效果提高了0.21个百分点。 韩国政府制定了今年吸引536万名中国游客、取得接近2019年(602万名)的成果的目标。

内容来源自网络,如有侵权请联系删除

电话咨询

0451-88855777

0451-88855666

在线咨询
预约课程

预约课程

手机端

访问手机端

返回顶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