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록’은 “매일 점검하도록 지시했다” “잘 자라도록 거름을 주었다” 등처럼 ‘~게끔’과 비슷한 뜻으로 주로 쓰인다.
“~도록”类似“~게끔”,例如“让大家每天检查”、“施肥让它茁壮成长”。
그렇다면 왜 “제가 하겠습니다”라고 하면 될 것을 굳이 “제가 하도록 하겠습니다” 식으로 표현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서는 정중하게 표현하려다 보니 이렇게 된 것이 아니냐고 추측하는 사람들이 있다. “제가 하도록 하겠습니다”가 더욱 공손한 표현이라는 것이다.
那么明明可以说“我来做(제가 하겠습니다)”,为什么偏偏要说“我来做吧(제가 하도록 하겠습니다)”呢?对此,一些人推测用这种表达,是想要表现地更加郑重。 “我来做(제가 하도록 하겠습니다)”的语感更加恭敬。
일본어의 영향이라고 보는 학자도 있다. 일본어에선 능동형(自分でやります)과 사동형인 “제가 하도록 하겠습니다”(自分でやらせていただきます) 모두 쓰이는데 뒤의 사동 표현을 선호한다고 한다. 이를 따라 하거나 번역하면서 “제가 하도록 하겠습니다” 식의 표현이 우리말에 스며든 것이 아닐까 하는 견해도 있다.(오경순, 『번역투의 유혹』)
也有学者认为这是受到了日语的影响。在日语中,主动型(自分でやります=제가 하겠습니다)和使动型(自分でやらせていただきます=제가 하도록 하겠습니다)都能用,但日本人更喜欢用后者。所以也有人认为,这是借鉴了日语或是在日翻韩的过程中潜移默化地渗透到了韩语。(吴景顺,《翻译腔的诱惑》)
그렇다면 “제가 하도록 하겠습니다”는 틀린 표현일까? 국립국어원은 이러한 표현이 널리 쓰이고 있는 것을 감안해 최근에는 이를 인정하고 있는 입장이다. 다만 언어의 으뜸 가치인 간결성을 따진다면 “제가 하겠습니다”가 더욱 권장되는 표현이라 할 수 있다.
那么“我来做吧(제가 하도록 하겠습니다)”是错误的表达吗?考虑到这种表达已经被广泛使用,所以近期国立国语院将其归类为标准表达。但是如果考虑到语言的首要价值——简洁性,更推荐大家使用“我来做(제가 하도록 하겠습니다)”。